카카오톡 개편 불만 확산 자동 업데이트 차단 설정 팁 4가지

카카오톡이 15년 만에 대규모 개편 업데이트를 단행했습니다. 하지만 예상보다 불편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개편된 카톡의 주요 변화와, 사용자들이 직접 찾은 대응 방법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카카오톡 개편 업데이트 변화 주요 기능 소개

2025년 가을, 카카오톡이 15년 만의 대규모 업데이트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단순한 메신저 기능을 넘어 AI와 소셜 피드형 구조로 확장된 것이 특징입니다.

  • 친구 탭이 리스트형 → 피드형으로 개편
  • ‘오픈채팅’이 ‘지금(Now)’ 탭으로 바뀌며 숏폼·커뮤니티 콘텐츠 제공
  • 메시지 24시간 내 수정 가능
  • 보이스톡 녹음 후 AI 요약 기능 추가
  • AI 챗봇(카나나·ChatGPT) 연동

하지만, 사용자들이 기대보다 불편함과 혼란을 크게 호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주요 문제점

많은 이용자들이 불만을 표시한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생활 노출: 친구 탭 피드형 개편으로, 덜 친한 사람의 프로필 변경·게시물이 자동 노출 → 사적인 정보가 의도치 않게 공개된다는 우려.
  2. 광고 비중 확대: 친구 목록에 광고 계정이 함께 노출되고, 화면 내 광고가 커졌다는 불편함.
  3. 변화에 대한 거부감: “메신저 앱이 SNS로 변했다”는 비판, 기존 UI에 익숙했던 사용자들의 거부 반응이 강함.
  4. 앱 무거움 우려: 기능이 늘어나면서 앱이 더 무겁고 복잡해질 것이란 걱정.

강제 업데이트 되기 전 미리 업데이트 차단 설정 팁 4가지

불편하다고 무조건 카카오톡을 쓰지 않을 수는 없죠. 그래서 강제 업데이트 되기 전 시간을 벌고,사용자들이 공유한 업데이트 차단 설정 팁을 정리했습니다.

 

1. 자동 업데이트 차단

  • 안드로이드: 구글 플레이스토어 → 카카오톡 앱 → 점 3개 메뉴 → ‘자동 업데이트 사용 해제’

  • iOS: 설정 → 앱스토어 → 자동 업데이트 옵션 끔

2. 프로필 공개 범위 조정

  • 이미 업데이트 되었다며 프로필 사진·상태 메시지 변경 시, 공개 범위를 “나만 보기” 또는 “일부 친구만 공개”로 설정하면 노출 최소화 가능.

3. 피드 노출 관리: 새롭게 생긴 피드형 친구 탭에서 원치 않는 게시물은 차단·숨김 기능을 활용하면 어느 정도 정리 가능.

4. 광고 최소화: 광고 계정을 친구 목록에서 차단하면 노출 빈도를 줄일 수 있음.

 

지금으로써 최대한 업데이트를 지연하면서 사용하다가 업데이트 후에는 불편하다고 불필요한 것들 설정을 통해 최소화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듭니다

 

일부 새 기능는 업무적인 부분에서 유용하게 사용 되는 것들 있는데요

 

  • 메시지 수정 기능: 오타나 잘못 보낸 내용은 빠르게 수정 가능
  • AI 보이스톡 요약: 업무·회의용 통화 기록 정리할 때 활용
  • 채팅방 폴더: 프로젝트별 대화방을 깔끔하게 관리 가능
  • AI 챗봇: 일정 관리, 번역, 글 교정 등 간단한 업무 지원

 

카카오톡의 이번 개편은 단순한 메신저를 넘어 AI 기반 소셜 플랫폼으로 진화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용자들의 불편이 큰 만큼, 카카오가 얼마나 빠르게 피드백을 반영하느냐가 앞으로의 관건입니다.

 

👉 업데이트를 앞두고 계신 분들은 자동 업데이트 설정을 확인하고, 이미 업데이트한 분들은 공개 범위·피드 노출 관리를 통해 불편을 최소화해보세요

 

 

👇 IF 카카오 컨퍼런스 발표 2025 카카오톡 업데이트 새 기능 정리

 

IF 카카오 컨퍼런스 발표 2025 카카오톡 업데이트 새 기능 정리

오늘 카카오는 IF 카카오 컨퍼런스에서 카카오톡의 새로운 기능들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단순한 메시징을 넘어, 더 편리한 대화·콘텐츠 공유·개인화된 프로필 경험을 제공하는 방

projectnftbus.tistory.com